≪설국열차≫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자와
닫힌 문을 열고 나가고 싶은 자
문이 열릴 때마다 마주하는 진실이 지극히 현실적이다
지구 온난화 해결에 실패해 지구는 다시 빙하기가 닥쳐오고
유일한 생존자를 태운 기차 안에서 앞쪽칸에 착취와 억압을 당하는 꼬리칸 사람들은 혁명을 일으킨다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공 냉각제 CW-7를 살포하며 빙하기에 접어든 지구에서, 기차에서 탑승한 사람들만이 유일한 생존자가 된다. 이 기차 안에서 확실한 계층 분류에 따라서 꼬리칸 사람들은 앞 칸 사람들에게 착취와 억압을 당한다. 17년이 지난, 2031년 커티스와 꼬리칸 사람들은 오랫동안 혁명을 준비한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감옥 칸에 있는 남궁민수의 도움이 필요하다. 설국열차만큼 다양한 배경의 공간을 보여주는 영화가 있을까. 꼬리칸 사람들이 하나씩 문을 열 때마다 목적에 맞게 설계되어있는 열차칸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커티스의 목적은 오직 앞칸으로 가는 것이다. 열차 안이 아닌 열차 밖의 세상은 생각해 볼 수도 없었던 그는, 앞칸으로 가지만 윌포드에게서 엄청난 진실을 마주한다. 커티스는 자신이 앞으로 와도 시스템의 변화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윌포드에게 설득을 당한다. 그와 반대로, 남궁민수는 문을 열 때마다 받기로 했던 크로놀을 크게 모아 기차 밖으로 나가는 문을 열고자 한다. 크로놀이 폭파되고 처음으로 요나와 티나는 기차의 밖으로 나온다. 영화는 저 멀리 북극곰을 보여주며 생태계가 살아나고 있음을 암시하며 끝이 난다.
1막에서는 빙하기로 접어든 지구에 대한 배경 설명과 ‘기차’의 시스템 구조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룬다. 갑작스럽게 바뀐 점호시간은 ‘도발적 사건’이 되었지만, 이를 계기로 꼬리칸 사람들은 앞으로 나아간다. 보안 설계자인 남궁민수가 조력자로 등장하지만, 메이슨 총리는 질서를 강조하며 적대자로 나타난다.
2막은 남궁민수가 첫 문을 열면서 시작된다. 2막의 전(前) 시퀀스에서는 윌포드와 길리엄의 계획대로라면 그곳에서 혁명이 끝나야 했지만, 꼬리칸 사람들은 불로 첫 승기를 잡는다. 2막의 후(後) 시퀀스에서는 꼬리칸과는 완전히 대조적인 이미지를 앞쪽칸에 사용함으로써 극명한 차이를 보여준다. 그러면서 주인공과 조력자의 갈등이 나타나는데 커티스는 엔진칸으로 가는 문을, 남궁민수는 기차 밖으로 나가는 문을 열고자 한다.
3막에서 커티스는 앞쪽칸까지 가는 목표를 이루지만, 결국 기차의 시스템 변화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기차의 부품 같은 티미를 보자, 커티스는 요나에게 성냥을 넘겨주고 티미를 꺼낸다. 결국 기차는 산산조각이 난다. 그러면서 요나와 티미는 기차 밖으로 나가고 북극곰을 보여주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2막부터는 앞 칸을 장악하고 싶었던 커티스와 기차 밖으로 나가고 싶었던 남궁민수의 대립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3막에서는 그 결과로 ‘기차의 밖’을 선택하며,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완전한 붕괴’라는 영화는 주제를 부각한다.
영화는 '열차'라는 한정적이고 극단적인 공간을 설정했다. 열차는 칸마다의 목적성을 가지고 잘 짜여있다. 꼬리칸과 앞쪽칸의 극명한 대비는 더욱 열차 안에서의 양극화를 강화하며,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그중 흥미롭게 봤던 것은 공간의 밀도이다. 꼬리칸이 전체의 60개의 칸 중 20개의 칸을 차지한다. 전체의 1/3이 꼬리칸이라는 뜻인데, 한 사람 당 차지하는 면적을 계산해보면 꼬리칸에 있는 사람과 앞칸에 있는 사람의 공간의 밀도는 최소 3배 이상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좁고 긴 공간에 붙어있는지 느껴지는가. 좁은 공간 안에서 부대끼는 모습들이 전달해주는 숨 막힘과 쾌적한 온실 속에서의 상쾌함의 대비는 정말 말로 표현이 불가능할 만큼 신선하다.
▶설국열차 안의 계급
영화 《설국열차》는 빙하기 이후, 유일한 생존자들이 탑승한 ‘기차’라는 극단적인 공간을 한정적으로 보여주지만, 영화 안의 설정이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확대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먼저, 자본주의 사회는 생산수단을 가지는 자가 부를 독점하는 시스템이다. 영화 《설국열차》 안에서의 생산수단은 기차를 돌아가게 하는 엔진이다. 즉, 엔진칸을 장악하고 있는 윌포드의 지위가 설국열차 안에서 가장 높다. 열차칸은 확실한 계층의 차이에 따라서 분류된다. 무임승차를 한 사람들은 꼬리칸에, 이코노미석과 일등석 사람들은 마약과 술을 즐기며 앞쪽칸에 위치한다. 기차에 탑승할 때부터 계급적 차이가 명확하게 정해져, 이는 마치 인도의 카스트제도를 떠올리게 한다. 카스트 제도의 가장 위에 있는 브라만 계급은 윌포드와, 크샤트리아 계급은 유일하게 칸과 칸을 이동하는 군인에 대응된다. 당연히 꼬리칸 사람들은 불가촉천민에 해당된다. 그래서 적대자는 기존에 정해진 자리를 벗어나는 것은 무질서한 행위이며 이는 곧 죽음이므로, 성스러운 엔진에서부터 나오는 질서를 지키라고 강조한다. 지배층은 기차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인위적으로 혁명을 주도하거나 살상해 인구수의 균형을 맞춘다.
이 시스템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피라미드 가장 꼭대기인 윌포드의 엔진칸에서부터 모든 것은 시작된다. 심지어, 물의 생산 또한 기차의 앞머리에서부터 만들어져 ‘물공급 칸’으로 온다. 생산수단을 점유하고 있는 지배층은 피지배계층의 억압과 착취를 당연하게 생각한다. 지배층에 의해서 선택된 이들은 인간성을 박탈당한 채, 기계처럼 노동하거나 또는 기계의 부품을 대체한다. 꼬리칸 사람들의 식량 배급을 위해서 단백질 블록 생산 칸에서 일하는 폴, 감정 없이 연주하는 바이올린리스트 제럴드, 그리고 엔진을 작동하기 위해서 앤디와 티미는 하나의 부품이 되어 일했다.
▶'불'의 상징
이 시스템에 환멸을 느낀 꼬리칸 사람들은 커티스를 중심으로 혁명을 일으킨다. 그의 욕망이 전체적인 내러티브를 이끄는 중심이 된다. 혁명의 과정에서 두 가지의 주된 결론을 끌어낼 수 있다. 먼저, 예카테리나 다리를 지난 후, 긴 터널이 나오는지 몰랐던 꼬리칸 사람들은 혁명이 실패할 위기에 처하지만, 기적적으로 챈이 가지고 있던 성냥으로 승기를 잡는다. 챈의 작은 불씨가 앤드류로, 그레이로 이어져 거대한 횃불 행렬이 된다. 불가능한 상황에서 하나씩 불이 더해지며 불은 가능성과 희망을 상징한다. 또한, 개인의 독단적인 행동이 아니라 연대함으로써 승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함께 담고 있다.
▶기차 밖의 세상의 상징
그러나, 커티스는 단순히 앞쪽칸으로 가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결국 기차의 근본적인 시스템 변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여기서 다른 선택을 한 남궁민수와 요나의 행동에 대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커티스를 도와 앞쪽칸까지 왔지만, 그들의 목표는 앞쪽칸의 문을 여는 것이 아니라, 기차 밖으로 향하는 문을 여는 것이었다. 커티스의 시선은 항상 앞쪽칸을 향해 있지만, 남궁민수는 기차의 창, 즉 옆을 향해있다. 남궁민수는 가능하면 요나에게 바깥세상에 대해서 알려주려고 한다. 온실 칸에서는 ‘흙’의 존재에 대해서 알려준다. 결국, 요나가 성냥으로 크로놀을 폭파함으로써 불은 새로운 세계로 나가는 가능성임을 다시 한번 암시한다. 영화의 주제는 커티스와 남궁민수의 갈등을 통해서 확실하게 강조된다. 만약 커티스가 윌포드의 자리를 대신해서 자리바꿈만 했더라면, 기차 안에서의 억압과 착취는 재생산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기차 밖으로 나가는 행동’은 기차를 자본주의 시스템으로 대응했을 때, 자본주의 시스템 자체를 붕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이 전혀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마지막 장면의 북극곰을 통해서 보여준다. 이는 기차 밖 세상의 생태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게시물은 권승태 교수님의 내러티브와 매체 수업에서 과제로 제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영화의 체계적인 분석은 「3막의 비밀」 책을 참고했습니다.
블레이드 러너 2049 (2017)_모호한 경계 속 그들은 인간이었다 (0) | 2021.01.23 |
---|---|
블레이드 러너 (1982)_기억과 감정은 인간의 것인가 (0) | 2021.01.23 |
먼 훗날 우리_그 때 그랬다면 우리는 아직도 함께일까? (0) | 2020.12.26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_사랑이 열어주는 세계의 확장성 (0) | 2020.11.21 |
나, 다니엘 블레이크 (I, Daniel Blake)_살아갈만한 삶이란 (0) | 2020.11.15 |
댓글 영역